사업 예산, 제작된 전자책 수 ‘저조’… 출간된 전자책 홍보조차 되지 않아
김예지 의원 “실질적 효과 미치도록 대책 마련해야”

ⓒ김예지 의원실
ⓒ김예지 의원실

출판문화산업진흥원에서 진행하는 장애인 접근성 강화형 전자책 제작 지원사업에서, 실질적 장애인 접근성이 보장되지 않는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13일 국민의힘 김예지 의원은 “장애인 접근성 강화 전자출판물의 양적 부족을 개선하고 장애인 독서율 향상에 기여하기 위한 목적으로 전자책 제작 지원사업을 시행하고 있으나, 사업 예산이 턱없이 부족하고 제작되는 책의 종수가 적다.”며 실효성 있는 개선책 마련을 강조했다. 

최근 김예지 의원실에서 진행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시각장애인 52명 중 88.5%가 대체자료가 없어 원하는 책을 바로 읽을 수 없다고 답했다. 

현재 현재 장애인 접근성 강화 전자책 제작 지원사업은 총 지원 규모 1억 원으로, 지난해 16종의 전자책과 2종의 모바일 앱 등 18종이 제작됐다. 올해는 21종의 전자책과 3종의 앱 총 24종이 제작 예정이다. 

이에 대해 김 의원은 “대한출판문화협회 납본 기준으로 지난해 총 6만4,657종의 신간이 발행된 것을 고려하면, 사업의 목적을 이루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사업 실적.”이라고 꼬집었다.

특히, 출간된 전자책조차 홍보가 되고 있지 않는 실정이다.

김 의원은 “장애인 접근성 강화형 도서라는 것이 명확하게 언급되지 않거나, 출판사마다 표현하는 방식이 달라 어떤 것이 장애인 접근성 강화형 전자책인지 알기 어렵다.”며 “이에 대해 출판사에서조차 숙지하고 있지 않고, 유통서점 또한 환불 또는 해당 도서를 삭제함으로써 대응했다.”고 설명했다. 

김예지 의원실 자체 조사에 따르면, 설문 참여자 52명 중 9.6%인 5명만이 해당 사업에 대해 알고 있다고 답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1명이 본 사업으로 제작된 책을 기관을 통해 읽어보았다고 답했다. 

즉, 사업의 혜택을 보아야 할 시각장애인들에게 관련 정보가 전달되지 않고, 제작된 장애인 접근성 강화형 전자책마저 구입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와 함께 플레이어 접근성 문제도 함께 제기됐다.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의 2차례에 걸친 제품 품질 점검을 통과했으나, 플레이어 자체의 접근성이 떨어져 접근성 강화라는 말이 무색하게 접근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했다는 것.

김 의원은 “아무리 접근성이 뛰어나도 당사자가 읽지 않고 사지 않으면 무슨 소용이 있는가.”라며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은 관행적 지원만 할 것이 아닌, 사업의 근본적인 취지를 생각해 독서 장애인들에게 실질적 효과가 미치도록 예산확보, 접근성 강화형 전자책 홍보, 철저한 평가, 유통 관리 방안 등을 마련하고 그간의 평가 과정의 적절성과 문제 현황을 파악해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장애인신문·웰페어뉴스 박성용 기자]

저작권자 © 웰페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