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각장애인 위한 수어, 시각장애인 위한 점자 등 맞춤형 콘텐츠 제공
글자크기 확대, 키오스크 높낮이 기능도… “전국 박물관으로 확산할 것”

국립중앙박물관은 13일 정부의 국정과제 ‘일상이 풍요로워지는 보편적 문화복지’ 실현을 위해 추진해 온 ‘이용 장벽 없는 스마트 전시관’ 서비스를 선보였다.

이번 서비스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디지털 혁신 프로젝트로 선정된 것으로, 국립중앙박물관과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이 공동으로 지난 1년간 준비 끝에 개시됐다. 

스마트 전시관은 인공지능 기반의 키오스크와 이와 연계된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하는 국립중앙박물관의 디지털 서비스다. 장애유형별 맞춤형 기능을 구현해 시·청각장애인 등 문화 취약계층이 누군가의 도움 없이도 최적의 박물관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키오스크는 상설전시관 1층에 2대, 2층과 3층에 각 1대씩 설치돼 있다. 

전시관 내 키오스크에서 시각장애인은 인공지능 기반의 음성안내와 점자 키패드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고령자나 저시력 시각장애인은 화면 글씨 확대와 색상 고대비 화면 등으로 쉽게 정보를 찾아볼 수 있다. 

휠체어 이용자나 저신장자의 편리한 사용을 위해 키오스크 자동센서를 통한 높이 조절 기능도 제공한다.

특히, 청각장애인을 위한 수어서비스를 구축했다. 청각장애인이 수어로 질문을 하면, 질문의 의도에 맞는 내용을 3D 수어 아바타가 수어로 대답한다. 

또 단순한 시설 안내뿐만 아닌, 박물관 전시품에 대한 설명도 수어 아바타나 수어 영상 등으로 제공한다. 

국립중앙박물관 인공지능 전시안내 키오스크.. 청각장애인을 위해 수어 아바타가 전시품을 설명하고 있다. ⓒ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 인공지능 전시안내 키오스크.. 청각장애인을 위해 수어 아바타가 전시품을 설명하고 있다. ⓒ국립중앙박물관

수어 검색 서비스는 아직 개발의 초기 단계로 향후 대량의 수어 학습데이터 구축 등 지속적인 보완과 개발이 필요하다. 청각장애인이 실질적으로 사용·체감할 수 있는 디지털 서비스의 기반을 마련한 만큼 이용행태를 면밀히 분석해 기능을 고도화해 나갈 예정이다.

이밖에도 키오스크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안내는 관람객 개인의 휴대폰과 연동해서도 이용 가능하다. 

키오스크 화면의 QR코드를 촬영하면 박물관 전시안내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되며, 수어 챗봇 기능을 포함해 추천동선 안내와 전시품 해설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전시를 관람하면서도 개인의 휴대폰을 활용해 다양한 맞춤형 서비스를 경험해 볼 수 있다. 시·청각장애인 등 문화 취약계층은 물론, 비장애인도 키오스크를 이용해 박물관의 다양한 정보에 접근해 자유롭게 전시를 관람할 수 있다.

국립중앙박물관 관계자는 “지방에 거주하는 문화취약계층에게도 공정한 문화 접근기회를 부여하기 위해 전국의 소속 국립박물관까지 스마트 전시관 구축을 확산해 나갈 계획.”이라며 “올해는 국립경주박물관, 국립광주박물관, 국립부여박물관에 시스템을 구축해 내년부터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장애인신문·웰페어뉴스 박성용 기자]

저작권자 © 웰페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