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공공기관 우선구매 실적 7,005억 원, 총구매액의 1.01%
2023년은 전년 실적 대비 739억 원 증가한 7,744억 원 구매목표 설정

지난해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대상 공공기관 중 52.3%만 법정 구매비율 1%를 지킨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보건복지부는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촉진위원회(이하 촉진위원회)를 통해 지난해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액은 7,005억 원, 구매 비율은 1.01%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촉진위원회는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제도에 관한 심의·의결기구로,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특별법에 따라 전년도 우선구매 실적과 당해 연도 우선구매 계획을 매년 심의·발표하고 있다.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제도는, 공공기관에 총구매액의 1% 이상 중증장애인생산품 구매 의무를 부여하는 제도다.

지난해 우선구매 대상 공공기관은 2021년보다 5개 늘어난 1,042개며, 이중 52.3%인 545개 기관이 중증장애인생산품을 1% 이상 구매했다.

에너지경제연구원(기타 공공기관)은 총구매액(약 22억 원)의 18.2%(약 4억 원)를 중증장애인생산품으로 구매해 가장 높은 우선구매 비율을 보였으며, 한국토지주택공사(공기업)는 약 416억 원(구매 비율 1.38%)으로 가장 많은 중증장애인생산품 구매금액을 기록했다.

또한, 이날 위원회는 올해 우선구매 대상 공공기관 1,039개의 우선구매 계획은 촉진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전년 실적(7,005억 원) 대비 739억 원 증가한 7,744억 원, 우선구매 비율 1.13%로 확정했다.

공공기관의 지난해 우선구매 실적과 올해 우선구매 계획은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특별법 제7조의3에 따라 보건복지부 누리집(www.mohw.go.kr)을 통해 이번달 중 공표할 예정이다.

한편, 중증장애인생산품 생산시설은 장애인 근로자 10명 이상을 고용해 물품·서비스 등을 생산하는 시설로, 지난해 말 기준 762개가 지정돼 사무용품 등 200여 개 품목을 생산 중이다.

지난해 말 기준 장애인근로자는 1만4,283명으로, 이 중 중증 장애인은 1만2,880명으로 전체의 90.2%다. 발달장애인은 1만26명으로(지적장애 9,234명, 자폐성 장애 792명) 전체의 70.2%를 차지한다.

보건복지부 염민섭 장애인정책국장은 촉진위원회에서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제도는 사회적 취약계층인 장애인의 보호 고용과 근로활동을 보장하기 위해 정부 등 공공이 앞장서야 한다는 취지의 제도.”라며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확대를 위해 정부 부처를 비롯한 공공기관의 지속적인 관심과 협조를 부탁한다. 보건복지부는 앞으로도 제도개선 등 우선구매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지원을 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장애인신문·웰페어뉴스 정두리 기자]

저작권자 © 웰페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