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장애인재단(이하 재단)은 지난 18일 국회도서관 소회의실에서 이종성 국회의원, 한국장애인단체총연합회와 함께 ‘장애인 디지털 접근성 제고와 복지기술 도입을 위한 개선방안’을 주제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4차 산업혁명의 도래,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복지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시점에서 북유럽 국가의 장애인 서비스 영역 복지기술 활용 사례, 공공 차원의 정책적 노력과 전략을 살펴보고자 마련됐다.

이를 통해 장애인 분야 복지기술 도입을 위한 정책적 개선방안을 논의하고 기획한다는 취지다.

이날 토론회는 장애인 단체 종사자와 당사자, 학계·현장 전문가 80여 명이 참여했으며, 이종성 국회의원의 개회사와 재단 이성규 이사장의 환영사, 국립재활원 재활연구소 권효순 과장, 나사렛대학교 재활의료공학과 육주혜 교수의 발표 순서로 진행됐다.

발제를 맡은 권효순 과장은 ‘유럽의 보조기술 연구 개발 동향’을 주제로, 최근 유럽에서 진행되고 있는 보조기기를 활용한 자기관리 활동·참여, 의사소통과 정보관리 등의 개발 사례를 설명했다. 

이어서 육주혜 교수는 “유럽 국가들의 경우 전 국민을 대상으로 장애인에 대한 디지털 접근 인식 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기반으로 제도를 수립하는 과정을 갖고 있다.”며 “장애인의 디지털 접근성 관련 법률 제정, 국가적 모니터링 체계 등이 국내에도 고려돼야 한다.”고 개선방안을 제시했다.

이후 이승기 교수를 좌장으로 패널들 간의 열띤 토론이 진행됐다.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곽재복 관장은 “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장애인의 삶에 긍정적인 변화를 불러올 수 있으나, 이에 대한 적절한 교육, 정책·법, 윤리적 고려가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숭실대학교 김경미 교수는 “장애인의 디지털 역량과 디지털 리터러시를 향상하기 위해서 장애유형에 맞는 개별적인 정보화 교육 과정 개발과 민·관 협력을 통한 정보화 교육 프로그램 개발·지원 등이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강남대학교 이준우 교수는 “기술적으로 가능한 것을 개발하기보다는 장애인의 행복한 삶을 향한 사회복지적인 가치와 목적이 추구하는 바를 이루기 위한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재단 이성규 이사장은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 되고 있는 현시점 속에서, 장애인들이 비장애인과 함께 온전한 디지털 사회를 경험할 수 있도록 디지털 접근성을 제고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토론회에서 논의된 내용을 토대로 장애인들의 디지털 접근성 제고, 복지기술 도입을 위한 실질적인 개선방안이 마련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장애인신문·웰페어뉴스 박성용 기자]

저작권자 © 웰페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