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도 모든 교통수단의 차별없이 이용가능 한 날은 언제쯤 올까.

‘제1차 교통약자이동편의증진 5개년 계획’에 따라 지난해 전체 시내버스의 50%가 저상버스로 교체돼야 했지만, 지난해 저상버스의 도입률은 16.4%에 불과했다.

그나마 시내버스나 KTX, 지하철은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가 이뤄지고 있기 때문에 나은 현실이다.
반면 시외·고속버스의 저상버스 도입과 휠체어 리프트 설치는 단 한 대도 이뤄지지 않았다.

장애인들은 명절 때만 되면 떠나가는 시외버스를 그저 바라만 볼 뿐.

올해 장애계는 장애인의 시외이동권 보장을 위해 시외·고속버스의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 촉구를 중심으로 투쟁을 이어갔다.

특히 지난 4월 20일 장애인의 날에는 서울고속버스터미널 20개 노선의 버스에 총 200인의 장애인이 탑승시도를 했으나 저상버스가 배치되지 않은 고속버스에 장애인들은 탑승할 수 없었다.

이 과정에서 장애계는 경찰과 마찰이 벌여졌고 경찰이 최루액을 뿌리며 정면 충돌했다.

이어 12월 3일 세계 장애인의 날을 앞두고 2박 3일동안 강남고속버스터미널에서 버스점거 농성을 펼쳤다.

아울러 장애계는 지난 3월 정부와 지자체를 상대로 ‘장애인 노인 등 교통약자의 시외이동권 보장을 위한 소송’을 제기하기도 했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내년 정부는 고속버스 1대당 4,000만 원의 예산을 들여 총 40대에 휠체어리프트를 설치해 시범운영하겠다던 사업을 손바닥 뒤집듯 바로 뒤집어 버렸다. 시범운영 예산을 국회 최종심사에서 전액 삭감했기 때문이다.

정부의 지원이 없다면 버스운송업체는 가뜩이나 수익면에서 떨어지는 저상버스나 휠체어 리프트 설치를 망설일 수 밖에 없는 입장이다.

장애인도 모든 교통수단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는 법이 실질적으로 작동하기 위해선 정부의 적극적인 예산지원이 필요하다.

하지만 희망적인 소식도 있다. 지난 8일부터 경기도와 서울을 오가는 휠체어 리프트가 구비된 저상버스 광역2층 버스가 3주간 시범운행을 시작했다. 장애인 시외이동권 보장의 첫 신호가 된 셈이다.

올해 장애인의 시외이동권 보장을 위한 힘겨운 투쟁이 이어졌지만 아직 갈 길은 험난하다. 내년 장애계는 장애인의 시외이동권 보장을 위한 투쟁이 더욱 거세질 전망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웰페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