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신문·웰페어뉴스=양원준 |

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이사장 박마루)는 2025년 10월 장애인기업 동향 조사 결과, 장애인기업의 10월 경기 체감 지수(BSI)가 78.0p로 전월 대비 2.2p 하락했으며, 11월 경기 전망 지수는 82.6p로 전월 대비 1.1p 상승했다고 26일 밝혔다.

* 경기실사지수(BSI, Business Survey Index)는 사업체의 실적과 계획 등 주관적 의견을 수치화한 경기 예측 지표로, 지수가 100p 초과이면 경기 호전을, 100p 미만이면 경기 악화를 의미한다.

[지역별 동향: 충청·경상·제주권 체감 상승]

지역별 10월 체감 지수는 충청권(78.2p, 2.6p↑), 경상권(80.0p, 2.3p↑), 제주권(90.3p, 1.4p↑) 순으로 상승했고, 강원권(71.4p, 14.3p↓), 수도권(76.2p, 4.1p↓), 전라권(76.9p, 3.7p↓)은 하락했다. 11월 전망 역시 제주권(95.8p, 18.0p↑), 충청권(87.8p, 7.7p↑), 경상권(83.2p, 6.4p↑)이 상승한 반면 강원권(72.4p, 6.2p↓), 전라권(75.6p, 5.7p↓), 수도권(83.3p, 4.5p↓)은 하락세를 보였다.

[업종별 동향: 제조업 체감 상승]

업종별 10월 체감 지수는 제조업(84.1p, 8.4p↑)만 상승했으며 도소매업(72.2p, 11.1p↓), 건설업(70.1p, 4.5p↓), 서비스업(81.1p, 2.7p↓)은 하락, 기타 업종은 보합으로 나타났다. 11월 전망 지수는 제조업(86.9p, 5.1p↑), 도소매업(82.9p, 3.3p↑), 기타 업종(89.5p, 1.6p↑) 순으로 상승했고, 건설업(73.7p, 2.6p↓), 서비스업(83.3p, 1.4p↓)은 소폭 하락했다.

[장애 정도별 동향: 중증 체감 상승]

장애 정도별 10월 체감 지수는 ‘심한(중증) 장애’ 79.5p(0.8p↑)로 소폭 상승했고, ‘심하지 않은(경증) 장애’ 77.9p(2.6p↓)로 하락했다. 11월 전망 지수는 ‘심한(중증) 장애’ 82.9p(5.9↑)로 상승했으며 ‘심하지 않은(경증) 장애’는 보합으로 나타났다.

10월 경기 체감 악화 요인으로는 ‘내수 및 수출 수요 악화’가 60.6%로 가장 높았으며, 11월 경기 전망의 호전 요인 역시 ‘내수 및 수출 수요 증가’가 57.4%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이는 장애인기업이 내수와 수출 수요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는 지난 11월 13일 코엑스 마곡에서 제1회 해외 바이어 초청 수출상담회를 개최하는 등 수출지원 사업을 다양화하고, 관련 예산을 확대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 박마루 이사장은 “대내외 환경의 변동 속에서도 장애인기업이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데이터에 기반한 정책 보완을 통해 시의성 있는 현장 중심형 지원을 이어나가겠다”고 말했다.

2025년 10월 장애인기업 동향 분석 결과는 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 누리집(www.debc.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 © 웰페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