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SG경영칼럼]사회복지관의 놀라운 변신, ESG 경영이 해답이다
글 ㅣ 최봉혁 ESG 칼럼니스트
최근 기업 경영의 핵심 화두는 단연 ESG(환경·사회·지배구조)다. 그러나 ESG는 비단 기업에만 국한된 개념이 아니다., 사회복지 기관 역시 ESG 경영을 적극적으로 도입해야 한다. 복지 기관의 ESG 경영은 단순한 유행이 아니라, 지속가능한 사회복지를 위한 필수적인 혁신이 된다. 사회적 약자를 위한 활동은 물론, 운영의 투명성과 효율성을 높여 신뢰를 구축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한국 복지기관, ESG를 실천하다
한국의 사회복지 기관들도 ESG 경영을 적극적으로 도입하며 괄목할 만한 성과를 내고 있다. 이는 복지 서비스의 질을 높일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의 지속가능성에 기여하는 중요한 발걸음이 된다.
서울 강남구의 한 노인종합복지관은 '제로 웨이스트(Zero Waste) 캠페인을 통해 주목받고 있다. 이 복지관은 일회용품 사용을 전면 금지하고, 복지관 내 식당에서 발생하는 잔반을 퇴비로 만들어 텃밭을 가꾸는 등 친환경 활동을 펼치고 있다. 또한, 에너지 절약을 위해 고효율 LED 조명으로 교체하고, 태양광 발전 설비를 일부 도입하여 전력 소비를 줄였다. 이를 통해 절감된 운영비는 취약계층의 난방비 지원 사업에 사용됐다.
사회(S) 영역에서는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 혁신이 두드러진다. 서울의 한 장애인 복지관은 2024년부터 '이용자 자치회'를 구성했다. 이는 단순히 의견을 듣는 것을 넘어, 프로그램 기획 단계부터 이용자들이 직접 참여하여 목소리를 낼 수 있는 구조다. 그 결과, 이용자들의 만족도가 획기적으로 상승했다는 자체 평가가 나왔다. 이 사례는 공급자 중심의 일방적 복지 제공 방식에서 벗어나,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서비스로 전환하는 중요한 계기가 됐다.
이러한 혁신은 비단 한국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미국의 사회복지기관들은 이미 ESG 원칙을 도입해 주목할 만한 성과를 내고 있다. 2025년 6월 미국 사회복지 협회(NASW)가 발표한 최신 보고서에 따르면, ESG를 도입한 복지 기관은 그렇지 않은 기관에 비해 기부자 신뢰도가 평균 15% 높게 나타났다. 이는 투명한 운영과 사회적 책임을 다하려는 노력이 곧 대중의 신뢰로 이어진다는 것을 증명한다
특히 환경(E) 측면에서, 미국의 여러 사회복지 시설은 친환경 정책을 적극적으로 펼치고 있다. 캘리포니아의 한 비영리 복지 재단은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고 에너지 효율이 높은 냉난방 시스템을 도입해 연간 운영비의 20%를 절감했다. 절감된 비용은 고스란히 복지 서비스의 질을 높이는 데 재투자됐다.
'사회적 책임'넘어 '민주적 지배구조'로
사회(S) 영역에서는 복지 서비스의 수혜자인 이용자와 그 가족, 그리고 지역사회 구성원을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시키는 노력이 돋보인다.
미시간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의 최근 연구에 따르면, 이용자 자문위원회를 운영하고 의견 수렴 절차를 정례화한 복지 기관은 서비스 만족도가 획기적으로 상승했다. 이는 공급자 중심의 일방적 복지 제공 방식에서 벗어나,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서비스로 전환하는 중요한 계기가 됐다.
가장 중요한 지배구조(G)는 운영의 투명성과 윤리적 책임에 관한 부분이다. 미국의 비영리 기관들은 이사회 구성원의 다양성을 확보하고, 정기적인 회계 감사를 외부에 위탁하는 등 민주적이고 투명한 의사결정 체계를 구축한다. 이는 불미스러운 재정 비리 의혹을 사전에 차단하고, 기관의 공신력을 강화하는 효과를 낳았다.
지속가능한 복지 사회를 향한 발걸음
복지 기관의 ESG 경영 도입은 단순히 유행을 따르는 것이 아니라, 미래를 위한 현명한 선택이다. 환경 보호를 위한 노력은 운영 효율성을 높이고, 민주적인 의사결정은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킨다. 또한 투명한 재정 운영은 기부자의 신뢰를 얻어 안정적인 재원 확보로 이어진다.
이제 복지 기관은 사회적 책임의 최전선에 서서, ESG 경영을 통해 지속가능한 복지 사회를 만들어가는 주체가 돼야한다. 이는 복지 서비스의 혁신을 넘어, 우리 사회 전체의 건강한 미래를 위한 중요한 발걸음이 될 것이다.
[출처 정리]
<미국 사회복지 협회(NASW)> (2025년 6월 보고서)-The Impact of ESG Principles on Non-profit Organizations' Trust and Fundraising.
<미시간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25년 2월 논문)-Enhancing Service Satisfaction through Stakeholder Inclusion in Non-profit Governance.
캘리포니아 비영리 복지 재단 사례-The Green Initiatives of the Community Welfare Foundation.(2024년 연례보고서)
